전체 글61 비상방송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1. 관계법령 - 소방시설설치및관리에관한법률시행령[별표4][시행일:2023.12.1.] -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ㆍ관리해야 하는 소방시설의 종류 2. 비상방송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 연면적 3천5백㎡ 이상인 것은 모든 층 - 층수가 11층 이상인 것은 모든 층 -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인 것은 모든 층 3. 제외 가능 시설 -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중 가스시설 - 사람이 거주하지 않거나 벽이 없는 축사 등 동물 및 식물 관련 시설 - 지하가 중 터널 및 지하구 2023. 5. 16. 수뢰도체, 인하도체, 접지극의 최소 단면 2023. 4. 17. 자연적 구성부재(Natural Component of LPS) 1. 정의 - 피뢰의 목적으로 특별히 설치하지는 않았으나 피뢰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피뢰시스템의 기능을 제공하는 도전성 구성부재 2. 근거 - KS C IEC 62305-3(피뢰시스템-제3부:구조물의 물리적 손상 및 인명위험)의 “5.2.5 자연적 구성부재" 3. 수뢰부로 사용할 수 있는 자연적 구성부재의 재료 2023. 4. 14. 피난구 유도등 설치기준_개정_2022.12.1 1. 기준 -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술기준 (NFTC 303) 2. 용어의 정의 가. 유도등 - 화재 시에 피난을 유도하기 위한 등 - 정상상태에서는 상용전원에 따라 켜지고 상용전원이 정전되는 경우에는 비상전원으로 자동전환 나. 피난구 유도등 - 피난구 또는 피난경로로 사용되는 출입구를 표시하여 피난을 유도하는 등 다. 통로 유도등 - 피난통로를 안내하기 위한 유도등으로 복도통로유도등, 거실통로유도등, 계단통로유도등이 있음 3. 유도등의 종류 가. 근린생활시설, 업무시설, 발전시설, 공장, 창고시설 : 소형 피난구 유도등 / 통로유도등 나. 그 외 :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303)_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 4. 피난구 유도등 설치기준 가. 옥내로부터 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 및 .. 2023. 3. 23. MI(Mineral Insulated) Cable 1. 규정 - KS C IEC 60702-1 - 정격전압 750 V 이하 무기물 절연 케이블 및 그 단말부-제1부: 케이블 2. 특성 (KEC 핸드북 해설) - 동관 속에 사전에 동선 도체와 절연물로서 분말 모양의 산화마그네슘이나 기타 절연성이 있는 무기물을 충진하고 이것을 압연한 다음 열처리해서 만드는 것 - 내염성이 뛰어남, 합선되어도 케이블의 파괴가 피복 외부에 도달하지 않음 - 내열성이 뛰어남, 도체 및 피복동의 융점은 1,083 ℃, 산화마그네슘의 융점은 약 2,800 ℃, 250 ℃까지는 연속 사용이 가능 - 기계적강도가 우수하고 충격이나 변형에 대해 강함 - 피복이 동관이기 때문에 내수, 내유, 내습 및 내후성을 가짐 - 무기 절연물을 사용한 것이어서 내화성이 좋음 3. 사용 장소 - 선박용.. 2023. 3. 14. 전기공학(전기기사) subnote 1. 전자기학 2. 회로이론 3. 전력공학 4. 전기기기 5. 제어공학 6. 발전공학 최근 자료는 아닙니다. 아~~주 오래전 공부할 때 작성한 자료에요~ 2023. 2. 28. 변압기 절연유 누설 방지 관련 법규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0조 (2022.10.13 시행) 1. 사용전압이 100kV 이상의 중섬점 접지식 전로에 접속하는 변압기를 설치하는 곳에는 절연유 구외 유출 및 지하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2. 폴리염화비페닐을 함유한 절연유를 사용한 전기기계기구는 전로에 시설하여서는 아니 된다. KEC 제3장 고압/특고압 전기설비 311.7 절연유 누설에 대한 보호 대한전기협회 KEC 핸드북에 명기된 상기 조항에 대한 해설 (2021) . . . 대한전기협회 문의 / 답변 (2022.3.5) 전기안전공사에서 발행한 전기설비 검사/점검 기준 (2022.1.1)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2023. 2. 24. 계통접지의 구분(TT/TN/IT 접지) 1. 용어의 정의 2. TT 계통 - 전원측 : 직접 접지 - 부하측 : 독립적인 접지극 설치 - 단독접지와 동일 3. TN 계통 - 전원측 : 직접접지 - 부하측 : 보호도체를 통해 전원측의 접지극에 접속 - 중성선과 보호도체를 어떻게 이용하느냐에 따라 세가지로 구분됨 4. IT 계통 - 전원측 : 대지로부터 절연 또는 임피던스를 통해 접지 - 부하측 : 독립적인 접지극 설치 2023. 2. 17. SPD(Surge Protective Device)의 설치기준 1. SPD의 등급 - Class I : 직격뇌로부터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피뢰설비가 있는 경우 구조물로 인입하는 선로의 인입구에 설치 - Class II : 보호대상 기기에 근접하여 설치 2. 피뢰구역 : LPZ (Lightning Protection Zone) 3. SPD 보호장치 (MCCB, ELCB, Fuse 등) 설치기준 가. 단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보호장치를 설치할 것 나. SPD 및 보호장치의 정격을 도면에 표기할 것 다. Class I SPD의 보호장치 정격은 대용량으로 할 것 라. SPD를 누전차단기 부하측에 설치할 때는 임펄스 부동작형 누전차단기를 설치 마. SPD를 누전차단기 전원측에 설치할 때는 외부분리기는 제조사가 보증하는 것을 설치 4. SPD 접속도체의 최소 단면적 5... 2023. 2. 15. 접지시스템의 구분 (단독접지 / 공통접지 / 통합접지) 1. 계통 접지 - 전력계통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이상현상에 대비하여 대지와 계통을 연결하는 것 - 변압기의 중성선을 대지에 접속하는 것 (중성접 접지) 2. 보호접지 (Protective Earthing) - 감전보호를 목적으로 기기를 접지하는 것 3. 접지 시스템의 종류 2023. 2. 13. 비상용 예비발전기 용량 산정 [전기기술인 협회지 1월호 발췌] 2023. 1. 17. 접지설계 표준에 따른 Factor 요약표 1. KS C IEC 61936-1에 따른 적용 Factor 2. IEEE-80에 따른 적용 Factor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2023. 1. 16.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