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5 SPD(Surge Protective Device)의 설치기준 1. SPD의 등급 - Class I : 직격뇌로부터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한 피뢰설비가 있는 경우 구조물로 인입하는 선로의 인입구에 설치 - Class II : 보호대상 기기에 근접하여 설치 2. 피뢰구역 : LPZ (Lightning Protection Zone) 3. SPD 보호장치 (MCCB, ELCB, Fuse 등) 설치기준 가. 단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보호장치를 설치할 것 나. SPD 및 보호장치의 정격을 도면에 표기할 것 다. Class I SPD의 보호장치 정격은 대용량으로 할 것 라. SPD를 누전차단기 부하측에 설치할 때는 임펄스 부동작형 누전차단기를 설치 마. SPD를 누전차단기 전원측에 설치할 때는 외부분리기는 제조사가 보증하는 것을 설치 4. SPD 접속도체의 최소 단면적 5... 2023. 2. 15. 접지시스템의 구분 (단독접지 / 공통접지 / 통합접지) 1. 계통 접지 - 전력계통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이상현상에 대비하여 대지와 계통을 연결하는 것 - 변압기의 중성선을 대지에 접속하는 것 (중성접 접지) 2. 보호접지 (Protective Earthing) - 감전보호를 목적으로 기기를 접지하는 것 3. 접지 시스템의 종류 2023. 2. 13. 비상용 예비발전기 용량 산정 [전기기술인 협회지 1월호 발췌] 2023. 1. 17. 접지설계 표준에 따른 Factor 요약표 1. KS C IEC 61936-1에 따른 적용 Factor 2. IEEE-80에 따른 적용 Factor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2023. 1. 16. KEC 규정에 따른 Cable Sizing시 고려조건 1. 적용 규정 -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2. 도체(Cable)와 과부하 보호장치(MCCB) 사이의 협조 - Cable 선정시 하기 식의 조건을 만족해야 함 3. 회로의 설계전류 (IB ) - 부하의 효율, 역률 및 부하율을 고려한 부하의 최대전류 4. 케이블의 허용전류 (Iz) - 온도계수, 열 저항율 계수, 집합계수 등의 보정계수를 고려한 케이블의 허용전류 - KS C IEC60364-5-52 - 참조 : https://blog.naver.com/sjlion82/222629805332 5. 보호장치의 정격전류 (In) - 차단기가 규정된 온도상승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상황에서 연속하여 최대로 흘릴수 있는 전류값 . 6. 보호장치의 규약전류 (I2) - 규약시간 이내에 보호장.. 2023. 1. 10. 수용가 설비의 전압강하 기준 기준 : KEC 232.3.9 . 2022. 12. 15.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1. 기준 -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간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203) - 제2조 적용범위 별표 5 2. 화재안전기준에서 언급하고 있는 자동화재탐지설비 - 수신기, 감지기, 중계기, 발신기 3. 공장 및 Plant 또는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관련 기준 2022. 10. 6. 내압방폭기기에 Sealing fitting 적용할 수 없는 이유 1. 근거 - KS C IEC 60079-14 (폭발성 분위기 - 제14부 전기설비 설계, 선정, 설치) 14. 내압방폭구조 "d"에 적용되는 추가 요구사항 2. Sealing Fitting 상세도 예시 (일신산업전기 자료 발췌) . 3. Conduit 내경 / 외경 (일신산업전기 자료 발췌) 2022. 9. 19. 보호계전기 번호 (Protection Relay No.) 변압기 관련 2. SWGR 관련 2022. 8. 11. 변경된 내화 / 내열 배선의 설치 기준 1. 기준 -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 시행 2022.3.4) 제10조 2. 별표 가. MV 비상발전기로부터 MV 소방펌프에 이르는 케이블을 내화전선으로 트레이에 배선하거나 일반 F-CV Cable을 금속관에 시공하여야 함 나. 6/10kV 이상은 아직 기술적으로 내화전선을 생산하지 못함 다. 전기실로부터 먼 지역에 소방펌프가 있는 경우 현실적으로 전선관에 시공하기 매우 어려움 라. 해당 사항은 지역 소방서와 인허가시 협의 필요 가. 기존의 내열 및 난연 케이블로 시공시에는 금속관에 시공하여야 함 나. 트레이 배선시에는 내화 전선으로 적용 필요 2022. 6. 10. 방폭 기기의 분류 1. 기준 - IEC 60079-20-1 - KS C IEC 60079-0 2. MESG - Maximum Experimental Safe Gap (최대실험안전틈새) - 기기 내부에서 일어난 폭발이 25mm 길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최소 틈새를 실험적으로 측정 - 이 실험에 의하여 구해지는 틈새를 등급별로 분류 3. MIC - Minimum Igniting Current (최소점화전류비) - IEC 60079-11에 따른 Spark test에서 폭발성 시험 혼합물의 점화를 일으키는 저항성 또는 유도성 회로의 최소 전류. 4. 기기의 분류 (Equipment Group) 가. Group I - 폭발성 갱내 가스에 취약한 광산에서 사용 가능한 기기 - Equipment for mines susc.. 2022. 5. 16. 누출등급과 환기에 의한 폭발위험 장소의 종별 (방폭) 기준 : KS C IEC 60079-10-1 방폭반경계산서 상 NE로 표시되더라도 공기보다 가벼운 물체인지 무거운 물체인지에 따라 Hazardous Area Classificatoin에는 0.7~1.5m의 방폭반경을 설정하는 것이 인허가에 유리함 2022. 5. 10.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