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5 비상용 예비발전기 용량 산정_전기안전공사 기준 근거 법령 - 전기안전관리법 (시행 2023.4.23) - 국토교통부 예비전원설비 설계기준 (KDS 31 60 20:2021) 2. 계산식 - GP : 발전기 용량[kVA] - ΣP : 전동기 이외 부하의 입력용량 합계[kVA] - ΣPm : 전동기 부하용량 합계[kW] - PL : 전동기 부하 중 기동용량이 가장 큰 전동기 부하용량[kW] 다만, 동시에 기동될 경우에는 이들을 더한 용량으로 함 - a : 전동기의 kW당 입력용량 계수 (추천값 : 고효율 1.38, 표준형 1.45) 다만, 전동기 입력용량은 각 전동기별 효율, 역률을 적용하여 입력용량을 환산 가능 - c : 전동기 기동계수 (KESC 발췌_전기안전공사 자료) - k :발전기 정수와 허용전압강하율을 고려한 계수 (명확하지 않은 경우 1.0.. 2023. 6. 24. 인하도선 1. 근거 - KEC 152.2 인하도선 시스템 - KS C IEC 62305 피뢰시스템 2. 정의 - 뇌전류를 수뢰부에서 접지극으로 흘리기 위한 외부 피뢰 시스템의 일부 - 수뢰부와 접지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 * 외부 피뢰 시스템(External Lightning Protection System) : 수뢰부, 인하도선, 접지극으로 구성된 피뢰시스템 * 내부 피뢰 시스템(Internal Lightning Protection System) : 피뢰 등전위 본딩 및 외부 피뢰 시스템의 전기적 절연으로 구성된 피뢰시스템 3. 설치 기준 - 복수의 인하도선을 병렬로 구성 (건축물 / 구조물과 분리된 피뢰 시스템인 경우 예외) - 도선 경로의 길이를 최소로 할 것 - 인하도선의 재료는 KS C IEC 623.. 2023. 6. 10. 피뢰기(LA) 설치장소 1. 관련근거 - KEC 341.13 피뢰기의 시설 2. 피뢰기 설치장소 가. 발전소・변전소 또는 이에 준하는 장소의 가공전선 인입구 및 인출구 나. 특고압 가공전선로에 접속하는 341.2의 배전용 변압기의 고압측 및 특고압측 다. 고압 및 특고압 가공전선로로부터 공급을 받는 수용장소의 인입구 라. 가공전선로와 지중전선로가 접속되는 곳 3. 제외 가. 설치장소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곳에 직접 접속하는 전선이 짧은 경우 나. 설치장소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경우 피보호기기가 보호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 4. 설치 예시 가. Incoming SWGR 나. 수용가 전주 : 지중으로 입하하는 경우 2023. 6. 1. 접촉전압 / 보폭전압 1. 접촉전압(UT, Touch Voltage) - 사람이나 동물이 도전성 부분에 두 지점을 동시에 접촉하였을 때 두 접촉점 사이의 유효전압 - 접촉한 사람이나 동물의 임피던스에 따라 상당한 영향을 받음 2. 허용접촉전압(UTp, Permissible Touch Voltage) - 접촉전압의 한계값 3. 보폭전압(US) - 사람의 보폭으로 간주되는 1 m 거리의 대지 표면의 2점 사이의 전압 - 일반적으로 접촉전압 요건을 충족하면 보폭전압 요건도 충족 * 인체를 통과하는 전류 경로가 달라서 견딜 수 있는 보폭전압 한계가 접촉전압 한계보다 훨씬 크기 때문 4. 접지전위상승(대지전위상승, UE, EPR, Earth Potential Rise) - 접지시스템과 기준접지(대지) 사이의 전압 상승 5. 전도전위 .. 2023. 5. 29. 비상방송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1. 관계법령 - 소방시설설치및관리에관한법률시행령[별표4][시행일:2023.12.1.] -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ㆍ관리해야 하는 소방시설의 종류 2. 비상방송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 연면적 3천5백㎡ 이상인 것은 모든 층 - 층수가 11층 이상인 것은 모든 층 -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인 것은 모든 층 3. 제외 가능 시설 -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중 가스시설 - 사람이 거주하지 않거나 벽이 없는 축사 등 동물 및 식물 관련 시설 - 지하가 중 터널 및 지하구 2023. 5. 16. 수뢰도체, 인하도체, 접지극의 최소 단면 2023. 4. 17. 자연적 구성부재(Natural Component of LPS) 1. 정의 - 피뢰의 목적으로 특별히 설치하지는 않았으나 피뢰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피뢰시스템의 기능을 제공하는 도전성 구성부재 2. 근거 - KS C IEC 62305-3(피뢰시스템-제3부:구조물의 물리적 손상 및 인명위험)의 “5.2.5 자연적 구성부재" 3. 수뢰부로 사용할 수 있는 자연적 구성부재의 재료 2023. 4. 14. 피난구 유도등 설치기준_개정_2022.12.1 1. 기준 -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술기준 (NFTC 303) 2. 용어의 정의 가. 유도등 - 화재 시에 피난을 유도하기 위한 등 - 정상상태에서는 상용전원에 따라 켜지고 상용전원이 정전되는 경우에는 비상전원으로 자동전환 나. 피난구 유도등 - 피난구 또는 피난경로로 사용되는 출입구를 표시하여 피난을 유도하는 등 다. 통로 유도등 - 피난통로를 안내하기 위한 유도등으로 복도통로유도등, 거실통로유도등, 계단통로유도등이 있음 3. 유도등의 종류 가. 근린생활시설, 업무시설, 발전시설, 공장, 창고시설 : 소형 피난구 유도등 / 통로유도등 나. 그 외 :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303)_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 4. 피난구 유도등 설치기준 가. 옥내로부터 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 및 .. 2023. 3. 23. MI(Mineral Insulated) Cable 1. 규정 - KS C IEC 60702-1 - 정격전압 750 V 이하 무기물 절연 케이블 및 그 단말부-제1부: 케이블 2. 특성 (KEC 핸드북 해설) - 동관 속에 사전에 동선 도체와 절연물로서 분말 모양의 산화마그네슘이나 기타 절연성이 있는 무기물을 충진하고 이것을 압연한 다음 열처리해서 만드는 것 - 내염성이 뛰어남, 합선되어도 케이블의 파괴가 피복 외부에 도달하지 않음 - 내열성이 뛰어남, 도체 및 피복동의 융점은 1,083 ℃, 산화마그네슘의 융점은 약 2,800 ℃, 250 ℃까지는 연속 사용이 가능 - 기계적강도가 우수하고 충격이나 변형에 대해 강함 - 피복이 동관이기 때문에 내수, 내유, 내습 및 내후성을 가짐 - 무기 절연물을 사용한 것이어서 내화성이 좋음 3. 사용 장소 - 선박용.. 2023. 3. 14. 전기공학(전기기사) subnote 1. 전자기학 2. 회로이론 3. 전력공학 4. 전기기기 5. 제어공학 6. 발전공학 최근 자료는 아닙니다. 아~~주 오래전 공부할 때 작성한 자료에요~ 2023. 2. 28. 변압기 절연유 누설 방지 관련 법규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0조 (2022.10.13 시행) 1. 사용전압이 100kV 이상의 중섬점 접지식 전로에 접속하는 변압기를 설치하는 곳에는 절연유 구외 유출 및 지하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2. 폴리염화비페닐을 함유한 절연유를 사용한 전기기계기구는 전로에 시설하여서는 아니 된다. KEC 제3장 고압/특고압 전기설비 311.7 절연유 누설에 대한 보호 대한전기협회 KEC 핸드북에 명기된 상기 조항에 대한 해설 (2021) . . . 대한전기협회 문의 / 답변 (2022.3.5) 전기안전공사에서 발행한 전기설비 검사/점검 기준 (2022.1.1)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2023. 2. 24. 계통접지의 구분(TT/TN/IT 접지) 1. 용어의 정의 2. TT 계통 - 전원측 : 직접 접지 - 부하측 : 독립적인 접지극 설치 - 단독접지와 동일 3. TN 계통 - 전원측 : 직접접지 - 부하측 : 보호도체를 통해 전원측의 접지극에 접속 - 중성선과 보호도체를 어떻게 이용하느냐에 따라 세가지로 구분됨 4. IT 계통 - 전원측 : 대지로부터 절연 또는 임피던스를 통해 접지 - 부하측 : 독립적인 접지극 설치 2023. 2. 17. 이전 1 2 3 4 5 6 다음